분류 전체보기
-
[Q&A + 요약 영상] 랜선사수 라이브 강연 'Z세대를 중심으로 보는 2023 트렌드 이슈'랜선사수 라이브 강연 2023. 1. 17. 16:30
안녕하세요, 아하레터 만드는 슈가슈가입니다. 지난 2022년 마지막 랜선사수 라이브 강연, 대학내일20대연구소 이재흔 랜선사수에게 2023년 트렌드 이슈에 대해 배워보았는데요. 트렌드의 중심에 있는 Z세대의 가치관, 일, 콘텐츠, 소비문화, 그리고 4가지 키워드 통해 올해의 트렌드를 살펴보았습니다. 핵심만 쏙쏙!! 1시간 만에 1년의 트렌드를 알아볼 수 있었어요. Z세대에 대한 이해와 트렌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트렌드 정보를 수집하고 예측하는 방법, 트렌드 모니터링 소스, 트렌드에 대한 직감 등 많은 질문을 다룬 이재흔 랜선사수 강연의 Q&A를 정리했어요.😉 질문 1 매년마다 한 해의 트렌드를 어떻게 수집하고 정리하고 예측하는지 대학내일 팀이 일하는 방식이 궁금해요. 랜선사수의 답변 ..
-
제 1회 <망한 목표 자랑 대회> 참여작을 소개합니다.아하 스토리 2023. 1. 12. 14:41
안녕하세요, 여러분! 작심삼일 반복의 아이콘 슈가슈가입니다. 😁 2022년 제1회 를 열었는데 정말 많은 분들께서 참여해 주셨어요. 댓글들을 보며 '나만 작심삼일 반복하고 있는 게 아니구나' 위안을 받으면서도, '우리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살고 있구나!' 공감도 되었답니다. 목표가 망한 것보다 중요한 것은 '작심삼일 이라도 가볍게 반복하는 거'예요. '나는 왜 이것도 못할까..'라든지, '저 사람은 회사 다니면서 유튜브도 하고 강연도 하는데..'같은 생각은 좋지 않아요. 무엇이든 가볍게 시도하고 또 가볍게 넘어가야지, 우리는 또 다른 계획을 세우며 즐거워하고 건강하게 내일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에요. 여러분께서 나눠 주신 이야기 중에서도, 너무 공감되고 귀여워서 혼자 보기 아쉬운 '망한 루틴 자..
-
잘하는 걸 찾아 자신감 얻는 법💪🏻아하 스토리 2023. 1. 12. 11:19
왜 강점에 집중해야 하는가 어려서부터 우리는 약점에 집중해서 그것을 보완하도록 교육받아 왔다. '영어 점수가 부족하니 영어 공부를 더 하자' '평균 보다 점수가 떨어지니 올려보자' 등 어떤 면에서 앞서 갈 것인가보다는 어느 면에서든 뒤지지 말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히도록 말이다. 학교 다닐 때에는 어떤 과목을 못하는가에 집중하고, 성인이 되어서도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곤 한다. 하지만 약점에 집중해서 그것을 보완하는 방법으로는 자기 발전도 없고 행복도 없다. 행복의 기본 수준을 높이고 낙관적이 되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그것을 일상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발휘해야 한다. 최근의 긍정심리학의 연구 성과는 약점에 집중하기보다는 강점에 집중 해야함을 역설하고..
-
작심삼일 반복하게 만드는 ‘회복 탄력성’아하 스토리 2023. 1. 11. 10:59
회복 탄력성이란? 회복 탄력성은 자신에게 닥치는 크고 작은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힘이다. 성공은 실패가 없는 상태가 아니라, 크고 작은 역경을 극복해 낸 상태를 말한다. 떨어져본 사람만이 어디로 올라가야 하는지 그 방향을 알고, 추락해본 사람만이 다시 튀어 올라가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듯이 바닥을 쳐본 사람만이 더욱 높게 날아오를 힘을 갖게 된다. 쉽게 말해 회복 탄력성은 마음의 근력 같은 것이다. 부정적인 감정을 무작정 참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면 긍정적인 마음 스위치로 on 할 수 있는 힘이다. 이는 일상 속 작은 실패들 앞에서 큰 도움이 된다 새해 다짐이 작심 삼일만에 실패해도 괜찮다. 중요한 것은 넘어지더라도 다시 일어나는 것에 있으니까. 회복 탄력성은 작심삼일을 반복하게 ..
-
[아하레터 #71호] 올 해 나를 지켜준 몇 가지 루틴들아하레터 지난 호 보기 2023. 1. 10. 14:58
안녕하세요 여러분! 올해 마지막 레터를 알차게 챙겨온 슈가슈가입니다. 웹에서 보기 2022.12.15 #71호 안녕하세요 여러분! 올해 마지막 레터를 알차게 챙겨온 슈가슈가입니다. 올 한 해 나를 지켜준 일상의 루틴을 발견해 보는 것을 시작으로, 2022년 아하레터 콘텐츠 결산, ‘퍼스널 브랜딩 글쓰기’ 에세이, 완독하지 않는 북클럽 모집까지 준비했어요. 참! 망한 목표 자랑대회도 있으니 꼭 참여해주세요. 그리고 아하레터는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겨울방학에 들어갑니다. 충분히 쉬며 더 단단해진 모습으로 충전하여 내년 1월, 늦지 않게 돌아올게요. 여러분 한 해 동안 감사했어요. 미리 메리 크리스마스 & 해피 뉴 이어 되세요! 🎈 임진아 작가님과 함께하는 완독하지 않는 북클럽 🎈 2023를 미리 알아보는 Z..
-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어도 충분하다아하 스토리 2023. 1. 9. 15:55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하게 읽어야 하지 않나요? 그러려면 최소 한 2, 3시간은 내야 하는데, 그러기가 쉽지 않아요.” 책이 재미가 되려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어야 한다'는 오해부터 풀어야 한다. 사실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도 좋지만 흥미를 끄는 부분만 읽어도 좋고, 영 재미없으면 포기하고 다른 책을 읽어도 괜찮다. ‘책은 이렇게 읽어야 한다’라는 오해와 편견을 깨야 비로소 책을 읽는 참 재미를 느낄 수 있고, 그렇게 신명나게 읽어야 삶이 바뀔 수 있다. 하버드대 학생들은 어떻게 1년에 100권을 읽을까? 우리나라 사람들이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독서량이 부족하다는 것은 어제오늘 이야기가 아니다. 가뜩이나 책을 많이 읽지 않는데, 스마트 폰이 대중화되면서 책 읽는 사람들이 더 줄었다...
-
아이디어의 주인은 누굴까 by 김민철아하 에세이 2023. 1. 2. 13:34
여기, 어젯밤 열심히 생각한 아이디어가 있다. 오늘 아침 지하철 안에서 번뜩인 아이디어도 있다. 잠깐 내가 천재가 아닐까 생각하게 만든 아이디어도 있다. 그리고 그 옆에 다 완성하지 못한 채로 내민 아이디어도 있고, 부끄러워서 차마 아는 척하고 싶지도 않은 아이디어도 있다. 그 모든 아이디어들이 회의실 책상 위에 사이좋게 놓여 있다. 이 아이디어들의 공통점은 오직 하나. 방금 원래의 주인을 떠났다는 것. 그게 어떤 아이디어건 간에 당신이 당신의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과 동시에 회의실 안의 구성원 모두가 아이디어들의 주인이 된다. 혼란스러운가? 하지만 이 원칙에 동의해야만 회의는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 상상해보라. 처음 자기 아이디어만 고집하는 한 사람을. 마치 자기가 낸 아이디어만이 정답인 양 우기는 ..
-
[아하레터 #70호] 트렌드가 없는게 트렌드?아하레터 지난 호 보기 2022. 12. 14. 16:35
아하레터가 준비한 랜선사수 라이브 강연은 계속됩니다🙋♀️ 이번 주제는 ‘2023 트렌드 이슈’인데요. 매년 이맘때쯤 안녕하세요, 여러분! 바쁜 연말에도 아하레터가 준비한 랜선사수 라이브 강연은 계속됩니다🙋♀️ 이번 주제는 ‘2023 트렌드 이슈’인데요. 매년 이맘때쯤이면 다음 해의 트렌드 분석에 대한 콘텐츠를 많이 보게 됩니다. 일하는 사람들이 시장을 이해하고 고객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트렌드를 아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겠죠. 올해로 14번째 트렌드 도서를 준비한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트렌드가 없는 게 트렌드인 것 같다'라고 말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메가트렌드에서 마이크로트렌드가 힘을 발휘하는 시대, 다면적이고 가변적인 소비자에게 어떤 방식으로 다가가야 할까요? 어떤 브랜드가 더 강력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