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아하레터 143호] 설명할 수 없는 감정이 나를 괴롭힐 때💆♀️아하레터 지난 호 보기 2025. 6. 11. 19:31
종종 친구들과 동료들에 비해 나만 제자리걸음인 것 같아서 조급해지곤 해요. 그런데 내가 바라는 삶의 모양이종종 친구들과 동료들에 비해 나만 제자리걸음인 것 같아서 조급해지곤 해요. 그런데 내가 바라는 삶의 모양이 아닌데도 부러워질 때면 왜 이럴까 싶어 머릿속이, 마음속이 시끄러워져요.💢모든 상황과 관계는 내가 원하는 대로, 꿈에 그리던 대로 흘러가지 않죠. 그렇다고 계속 괴로워할 수만은 없을 텐데요. “흔들리는 건 나의 눈, 의심하는 건 나의 마음, 과녁은 언제나 제자리에 있다.”라는 부처의 말처럼, 이런 괴로움의 원인은 외부가 아닌 내 안에 있을지도 몰라요.요즘 웰니스의 최전선에 있다는 힙한 ‘불교’에서 근심과 괴로움을 더는 비결을 찾아봤어요. 아주 합리적이고 실용적이어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
-
[아하레터 142호] 머릿속에 없는 건 현실에도 없다고 생각해보세요.아하레터 지난 호 보기 2025. 5. 28. 18:34
SNS에서 본 생활 꿀팁 북마크, 기발한 제품이나 서비스 캡처, 나중에 볼 영화 혹은 좋은 문구 메모… 이렇SNS에서 본 생활 꿀팁 북마크, 기발한 제품이나 서비스 캡처, 나중에 볼 영화 혹은 좋은 문구 메모… 이렇듯 일단 무작정 저장만 하고 써먹지 않는 것들이 점점 많아져요. 옷장에 입을 옷이 가득한데도 막상 정말 밖에 입고 나갈 옷은 없는 것 같달까요.아무리 좋은 지식과 경험도 체화하지 못하면 소용이 없겠죠? 그래서 우리가 쌓고 있는 인풋과 흔히 하는 회고를 진짜 내 것으로 만드는 법을 알면 좋을 것 같아요. 내가 가진 정보와 능력을 의미 있고 가치 있게 활용해서 성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거예요.🙌 ‘머릿속에 없는 건 현실에도 없다’ 인풋 정리 노하우우리는 너무 많은 정보를 접하고 모을 수 있게 되..
-
내가 우울증이라고? by. 오지은 & 반유화아하 에세이 2025. 5. 28. 18:03
🤦♀️ 우울증 디나이얼(denial)세상은 우울증 환자가 하루 종일 우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또는 마구 슬픈 기분을 느끼는 사람. 하지만 정신의학 전문가들은 그들을 ‘건강한 정상인’이라고 할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감정을 건강하게 느끼고 표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슬픈 일이 있어 슬픈 당신… 정상입니다! 수상한 사람들이 문제다. 본인 상태가 수상하다는 걸 모르거나 낌새는 챘지만 부정하는 사람들이 문제다. 수상한 순간이 어떤 때냐 하면… 기력이 없을 때, 다 싫을 때, 공황이 올 때(당시엔 공황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인생에 좋은 일이 일어나도 좋다고 느껴지지 않을 때, 즐거운 것이 없을 때, 감정이 사라진 것 같을 때, 잠을 잘 수 없을 때, 자학이 끝나지 않을 때, 죽고 싶을 때 등등을 말한다...
-
나쁜 감정의 방향을 바꾸는 7가지 태도아하 스토리 2025. 5. 28. 18:02
‘나는 괜찮아. 번뇌도 없고 인생 때문에 고민하지도 않으니까.’이렇게 딱 잘라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부처의 조언에 귀기울이지 않아도 슬기롭게 살아갈 수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런 사람은 많지 않다. 사람은 크든 적든 고뇌를 안고 있기 마련이다. 고민도 괴로움도 전혀 없는 사람은 그리 흔하지 않다. 자아와 교만 탓에 색안경 쓴 눈으로 자신을 보고 있음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한 고뇌는 사라지지 않는다. 자기 뜻대로 상황을 바라보고 모든 일이 원하는 대로 흘러가리라 믿으며 행동하거나, 원인이 자신에게 있다는 사실을 제쳐두고(알아차리지 못하고) 다른 사람을 탓하며 “저 사람 잘못이야!”라고 비난하고 공격하면, 결국 실패하고 괴로워하고 고뇌하느라 스트레스가 쌓이게 된다. 그래서 우리는 행복한 인생을 꾸려나..
-
괴로움을 없애기 위해 넘어야 할 ‘벽’아하 스토리 2025. 5. 28. 18:00
괴로움은 모두 ‘같은 곳’에서 비롯됨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미처 알아차리지 못한다. 마음에 움트는 모든 괴로움은 우리 머릿속의 그릇된 생각에서 시작된다. 어쩌면 곧장 되묻고 싶어질지도 모른다. “아닌데요! 제가 힘든 건 회사의 못된 상사 때문이라고요.” “바람을 피우는 건 제가 아닌데, 왜 제 잘못이라는 거죠?” 하지만 회사의 못된 상사나 바람을 피운 연인은 계기일 뿐이다. 그 결과 나타난 괴로움과 근심은 모두 우리의 마음에서 비롯된다. ‘그럼 결국 나도 어쩔 수 없는 것 아닌가…….’ 이렇게 자신이 초라하고 무력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이럴 때 힘이 되는 것이 바로 ‘불교’다. 불교의 테마는 ‘마음’이다. 자기 내면을 마주하고, 마음이 어떻게 움직이고 반응하는지 속속들이 들여다보고..
-
뭘 알아야 제대로 된 회고를 하지요?!아하 스토리 2025. 5. 14. 18:05
SNS의 순기능 하나를 꼽으라고 하면 ‘기록’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뭔가를 열심히 남기기 시작하면서부터 사람들이 중요하게 여기게 된 것이 하나 더 있다. 바로 ‘회고’이다. 많은 사람들이 SNS에 주말의 기록은 물론이고 한 달 동안 있었던 소박한 일상의 장면들을 모아 각자의 회고를 한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이 되면 올해의 영화, 올해의 책, 올해의 음악, 올해의 장소 등등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연말 시상식까지 펼쳐지곤 한다. 더 열심히 뒤를 돌아보고 내 나름의 분석과 평가를 곁들여 결실을 정리해보려는 의지가 한층 높아진 것 같다. 가늠할 수 있어야 한다당연히 업무에서도 회고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과거의 경험들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고칠지를 빠르게 파악해서 눈앞의 과제들을 물리쳐나가야..
-
‘머릿속에 없는 건 현실에도 없다’ 인풋 정리 노하우아하 스토리 2025. 5. 14. 18:00
‘내가 가진 것 중에 정말 내 것이라고 부를 수 있는 건 얼마나 될까?’ 과연 우리는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 중 무엇을 내 것이라고 인지하고 사는지 그리고 그것들 중 내가 직접 써보고 활용한 비율은 얼마나 되는지, 하물며 다른 사람들이 흘려놓은 것들을 주워 나름의 내 것으로 만들어본 경험이 단 한 번이라도 있는지. 온전한 내 것이 될 수 있는 건 무엇일지를 확인하는 것은 성장을 위한 태도와 습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물건을 들일 땐 정해진 날이 없지만 버릴 땐 반드시 정해진 날이 있어야 한다.” 멀리서 찾을 것도 없이 우리 주위만 둘러봐도 대상과 이유를 불문한 채 뭔가를 수집해놓으려 애쓰는 사람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중엔 일단 카메라 렌즈부터 들이밀며 찍어놔야 안도감이 드는 사람도 있고, ..
-
[아하레터 141호] 강연 안내: 일과 삶에서 자신의 말을 쌓아가는 법아하레터 지난 호 보기 2025. 5. 14. 17:56
일이라면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것들만 떠올리기 쉽지만, 그 사이사이엔 우리를 진짜 '일할 수 있게 해준일이라면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것들만 떠올리기 쉽지만, 그 사이사이엔 우리를 진짜 ‘일할 수 있게 해준 말들’이 자리하고 있어요. 우리가 수많은 회의를 하고 논의 속에서 더 나은 해답을 찾아가며 수정하고 보완하여 내보이는 결과물까지. 생각해보면 많은 일이 말에서부터 출발하고 말로 완성되는 것 같아요.네이버에서 브랜드 기획자로 일하고 있는 김도영 랜선사수는 상사, 동료, 후배와 나눈 대화 속에서 그리고 시행착오를 통해서 발견한 ‘말들을 주워 담는 것’이 정답이 없는 기획 일을 지속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해요. 그렇게 모은 말들이 일상에서 동력이 되고 새로운 시선을 열어주며 자신을 한 걸..